모두가 빌려쓰는 지구

소유보다 존재를 소중하게

경기도의회 156석 중 1석은 녹색기후정의 의석으로 만드는 경기도민의 선택

정당투표는 5번 녹색당

모두가 빌려쓰는 지구

소유보다 존재를 소중하게

경기도의회 156석 중 1석은 녹색기후정의 의석으로 만드는 경기도민의 선택

정당투표는 5번 녹색당

녹색당 경기도당 정책공약

지구를 살리는 녹색, 경기도를 바꾸는 선택

1. 기후위기와 불평등을 넘어 녹색전환으로 


① 기후정의 조례 제정

- 2050년 탄소중립사회를 위한 상향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 20년 이상 노후건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 버스 완전공영제와 친환경 공공교통 전환, 저상버스 확대

- 지역주민, 노동자, 청(소)년, 장애인 등 기후위기 당사자들의 참여가 보장되는 기후정의 위원회 설치

- 공공장소에서 ‘반기후광고 금지’


② 시민이 소유하고, 시민이 혜택 얻고, 지구가 웃는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경기도 에너지 자립 달성!

- 설치절차 간소화 등으로 미니태양광, 주택태양광 지원 정책 확대

- 공공건물, 공공유휴부지(간선도로, 주차장 등) 설치 조건 마련

-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마을태양광 확대, 에너지자립마을 확대


2. 적게 쓰고! 고쳐 쓰고! 다시 쓰고! 


① 무포장 가게 지원 및 확대 (포장 쓰레기 감량)

- 동네마다 1개 무포장 가게

- 무포장 가게에 대한 임대료 지원


② 수리센터 지자체 운영 (가전, 가구 등 생활용품 오래 쓰기)

- 지자체 운영 가전 및 가구, 자전거 수리 센터 시범 사업 확대


③ 다회용기 수거, 세척 시스템 구축 (일회용기 사용 줄이기)

- 식당 등 매장의 다회용기 구매 지원

- 다회용기 수거, 세척 시스템 구축하는 조례 제정

- 다회용기 수거 및 재사용 촉진하는 사회적 기업 지원


④ 건설 폐기물 순환 이용률 제고

- 공공기관 발주 공사에서 해체시 분별해체, 분리배출 의무화는 물론 민간으로 확대

- 순환골재 사용 증대위해 공공 발주 공사는 물론 민간까지 의무화 확대

- 건설자원 재사용 플랫폼 마련


3. 이웃들과 함께하는 일상 속 안전한 세상


① 장애인 탈시설을 위한 지원조례 제정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설립

- 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와 탈시설지원 조례 제정

- 장애인 지원주택 관련법과 지원주택 조례 제정

- 이동과 교육의 기본권 보장

- 권리중심 중증 장애인 공공일자리 확대


②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학생인권 옹호기구 설립과 성소수자 청소년 쉼터 마련

- 학생인권조례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교육감 직속 인권담당관 배치

-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쉼터 마련


③ 영양교사·조리실무사 학교 급식실 환경 개선 등 포괄적 기본조례 제정


④ 경기도 이주아동 지원 조례안 제정

- 미취학 미등록 이주 아동들의 보육료 지원과 보육기관에 차별없이 입소

- 진학, 건강보험, 취업에서 차별 받지 않는 제도 마련

- 불법 체류자가 아닌 이주자로 사회적 인식 개선


4. 논밭에서 밥상까지 먹거리 순환


① 농지보전 조례 제정

② 건강한 먹거리 환경 조성

③ 지속가능한 로컬푸드 시스템 확대

④ 먹거리 안전 검사시스템 확보(방사능오염, GMO, 식품첨가물, 유해식품에서 자유)

⑤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처리 경로를 파악하는 관리체계구축


5. 지역에서 광역까지 안전하고 촘촘한 대중 교통망 구축


① 15분 생태도시 계획 및 지역순환 경제 교통망 도입

② 보행자 중심 길, 자전거 유모차 휠체어 등 소통의 길 마련

③ 안전하고 촘촘한 대중교통망 구축

녹색당 경기도당 정책공약

지구를 살리는 녹색, 경기도를 바꾸는 선택

1. 기후위기와 불평등을 넘어 녹색전환으로 


① 기후정의 조례 제정

- 2050년 탄소중립사회를 위한 상향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 20년 이상 노후건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 버스 완전공영제와 친환경 공공교통 전환, 저상버스 확대

- 지역주민, 노동자, 청(소)년, 장애인 등 기후위기 당사자들의 참여가 보장되는 기후정의 위원회 설치

- 공공장소에서 ‘반기후광고 금지’


② 시민이 소유하고, 시민이 혜택 얻고, 지구가 웃는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경기도 에너지 자립 달성!

- 설치절차 간소화 등으로 미니태양광, 주택태양광 지원 정책 확대

- 공공건물, 공공유휴부지(간선도로, 주차장 등) 설치 조건 마련

-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마을태양광 확대, 에너지자립마을 확대


2. 적게 쓰고! 고쳐 쓰고! 다시 쓰고! 


① 무포장 가게 지원 및 확대 (포장 쓰레기 감량)

- 동네마다 1개 무포장 가게

- 무포장 가게에 대한 임대료 지원


② 수리센터 지자체 운영 (가전, 가구 등 생활용품 오래 쓰기)

- 지자체 운영 가전 및 가구, 자전거 수리 센터 시범 사업 확대


③ 다회용기 수거, 세척 시스템 구축 (일회용기 사용 줄이기)

- 식당 등 매장의 다회용기 구매 지원

- 다회용기 수거, 세척 시스템 구축하는 조례 제정

- 다회용기 수거 및 재사용 촉진하는 사회적 기업 지원


④ 건설 폐기물 순환 이용률 제고

- 공공기관 발주 공사에서 해체시 분별해체, 분리배출 의무화는 물론 민간으로 확대

- 순환골재 사용 증대위해 공공 발주 공사는 물론 민간까지 의무화 확대

- 건설자원 재사용 플랫폼 마련


3. 이웃들과 함께하는 일상 속 안전한 세상


① 장애인 탈시설을 위한 지원조례 제정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설립

- 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와 탈시설지원 조례 제정

- 장애인 지원주택 관련법과 지원주택 조례 제정

- 이동과 교육의 기본권 보장

- 권리중심 중증 장애인 공공일자리 확대


②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학생인권 옹호기구 설립과 성소수자 청소년 쉼터 마련

- 학생인권조례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교육감 직속 인권담당관 배치

-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쉼터 마련


③ 영양교사·조리실무사 학교 급식실 환경 개선 등 포괄적 기본조례 제정


④ 경기도 이주아동 지원 조례안 제정

- 미취학 미등록 이주 아동들의 보육료 지원과 보육기관에 차별없이 입소

- 진학, 건강보험, 취업에서 차별 받지 않는 제도 마련

- 불법 체류자가 아닌 이주자로 사회적 인식 개선


4. 논밭에서 밥상까지 먹거리 순환


① 농지보전 조례 제정

② 건강한 먹거리 환경 조성

③ 지속가능한 로컬푸드 시스템 확대

④ 먹거리 안전 검사시스템 확보(방사능오염, GMO, 식품첨가물, 유해식품에서 자유)

⑤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처리 경로를 파악하는 관리체계구축


5. 지역에서 광역까지 안전하고 촘촘한 대중 교통망 구축


① 15분 생태도시 계획 및 지역순환 경제 교통망 도입

② 보행자 중심 길, 자전거 유모차 휠체어 등 소통의 길 마련

③ 안전하고 촘촘한 대중교통망 구축 

경기도의회 의원선거 비례대표 후보

전길선


기후위기 시대에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기성정치에서 배제된 소수자도 똑같이 주인공으로 내일을 열겠습니다. 

지구를 위한 녹색, 동네를 바꾸는 선택! 다양하고 평등한 세상에 진심을 담아 함께 그 길을 걷겠습니다.

이력

현) 경기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현) 의왕녹색당 운영위원 

전) 미술치료사로 치료실, 복지관, 재활시설 등에서 근무 

전) iccop 식생활 강사 활동 

전) 발도르프 어린이집 교사 

전) 15대 국회 국회의원실 비서실 근무

경기도의회 의원선거 비례대표 후보

전길선

이력

현) 경기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현) 의왕녹색당 운영위원 

전) 미술치료사로 치료실, 복지관, 재활시설 등에서 근무 

전) iccop 식생활 강사 활동 

전) 발도르프 어린이집 교사 

전) 15대 국회 국회의원실 비서실 근무 

기후위기 시대에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기성정치에서 배제된 소수자도 똑같이 주인공으로 내일을 열겠습니다. 

지구를 위한 녹색, 동네를 바꾸는 선택! 다양하고 평등한 세상에 진심을 담아 함께 그 길을 걷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