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철도 2022>는 4월 18일부터 5월 2일까지 녹색당에서 진행한 ‘기후정의 지역순회 프로젝트'입니다. 녹색당은 기후위기 시대, 공공성의 상징인 철도를 이용해 각 지역의 기후위기 현장에 찾아가 기후위기 당사자, 지역 활동가, 녹색당 지방선거 출마자 등을 만났습니다. 15일간 총 10곳의 기후위기 현장을 방문한 <기후철도 2022>의 여정. 기후정의를 향해 나아가는 <기후철도 2022>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용인 용인경전철 완전 공영화

안전과 공공성 확보를 위해 용인경전철 다단계위탁 해소 및 완전한 공영화 촉구

녹색당의 <지구를 살리는 기후철도2022>, 어느새 열번 째 정차역 "공공교통 강화하는 경기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색당은 어제(5/2) 오전 11시 30분,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사무실을 찾아 한 시간 가량 현안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김예원 녹색당 공동대표, 전길선 녹색당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후보, 황준성 용인녹색당 운영위원장, 박정애 용인녹색당원이 함께 했습니다.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네오트랜스주식회사로 이루어진 다단계위탁 구조입니다. 다단계위탁의 위탁사업 입찰, 이윤추구 구조는 안전을 위한 노동자 수 유지와 노동자 처우 개선을 어렵게하고, 용인의 경우처럼 시민에게 별도요금을 부과하기도 하고, 운영과 관리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이동권 보장을 위한 각종 노력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녹색당과 용인경전철지부, 궤도협의회는 용인경전철 다단계위탁 구조 철폐와 공영화를 위한 연대 필요성에 서로 공감하고, 나아가 도보·자전거부터 버스-(경)전철까지 이어지는 공공교통 체계, 생활권부터 광역권 전체로 이어지는 공공교통 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최근 경전철 등 신규 도시철도 노선이 많이 늘었지요. 하지만 단순히 철도가 늘어난다고 해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공공교통이 늘어난 것은 아닐 것입니다. 민영화 시도를 막아내고 소유, 운영, 관리까지 공공의 영역에 두어야 합니다. "용인경전철을 용인시민에게"라는 구호가 그래서 더욱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녹색당은 <기후철도2022> 출발식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교통공공성 강화가 기후위기를 정의롭게 극복하기 위한 핵심 과제임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교통수단의 민영화를 막아내고 모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기후철도 2022>는 4월 18일부터 5월 2일까지 녹색당에서 진행한 ‘기후정의 지역순회 프로젝트'입니다. 녹색당은 기후위기 시대, 공공성의 상징인 철도를 이용해 각 지역의 기후위기 현장에 찾아가 기후위기 당사자, 지역 활동가, 녹색당 지방선거 출마자 등을 만났습니다. 15일간 총 10곳의 기후위기 현장을 방문한 <기후철도 2022>의 여정. 기후정의를 향해 나아가는 <기후철도 2022>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용인 

용인경전철 완전 공영화

안전과 공공성 확보를 위해
용인경전철 다단계위탁 해소 및 완전한 공영화 촉구

녹색당의 <지구를 살리는 기후철도2022>, 어느새 열번 째 정차역 "공공교통 강화하는 경기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색당은 어제(5/2) 오전 11시 30분,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사무실을 찾아 한 시간 가량 현안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김예원 녹색당 공동대표, 전길선 녹색당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후보, 황준성 용인녹색당 운영위원장, 박정애 용인녹색당원이 함께 했습니다.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네오트랜스주식회사로 이루어진 다단계위탁 구조입니다. 다단계위탁의 위탁사업 입찰, 이윤추구 구조는 안전을 위한 노동자 수 유지와 노동자 처우 개선을 어렵게하고, 용인의 경우처럼 시민에게 별도요금을 부과하기도 하고, 운영과 관리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이동권 보장을 위한 각종 노력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번 간담회에서 녹색당과 용인경전철지부, 궤도협의회는 용인경전철 다단계위탁 구조 철폐와 공영화를 위한 연대 필요성에 서로 공감하고, 나아가 도보·자전거부터 버스-(경)전철까지 이어지는 공공교통 체계, 생활권부터 광역권 전체로 이어지는 공공교통 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최근 경전철 등 신규 도시철도 노선이 많이 늘었지요. 하지만 단순히 철도가 늘어난다고 해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공공교통이 늘어난 것은 아닐 것입니다. 민영화 시도를 막아내고 소유, 운영, 관리까지 공공의 영역에 두어야 합니다. "용인경전철을 용인시민에게"라는 구호가 그래서 더욱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녹색당은 <기후철도2022> 출발식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교통공공성 강화가 기후위기를 정의롭게 극복하기 위한 핵심 과제임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교통수단의 민영화를 막아내고 모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주요 발언

강효찬 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 (궤도협의회) 집행위원장

기후위기 극복과 교통공공성 강화는 함께 가야한다. 그런 측면에서 <기후철도2022>에서 보여주는 녹색당의 노력을 환영한다.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철도교통이 단순히 양적으로만 증가하는 것으로는 안된다. 민영화 시도를 막아내고 운영과 관리 부문까지 공적 영역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생활권 내 교통부터 한 도시의 교통체계 나아가 수도권 전체의 공공교통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용인경전철 투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이석주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지부장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네오트랜스주식회사’로 이어지는 다단계 위탁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이런 위탁 구조는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 처우 개선 나아가 교통공공성 확대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이번 지방선거가 용인경전철의 완전한 공영화를 약속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전길선 녹색당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후보

도보와 자전거 - 버스 - 철도로 이어지는 공공교통 시스템이 원활하게 맞물려야만 자동차 이용률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용인의 경우 경기도 내에서도 탄소배출량이 많은 도시이고, 자가용 이용률도 높은 도시다. 용인경전철의 다단계위탁 문제 해결을 계기로 지역 내 공공교통 수단 전반의 공공성 강화가 필요하다. 경기녹색당도 이번 문제에 적극적으로 연대하겠다.

활동 사진

주요 발언 

강효찬 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 (궤도협의회) 집행위원장

기후위기 극복과 교통공공성 강화는 함께 가야한다. 그런 측면에서 <기후철도2022>에서 보여주는 녹색당의 노력을 환영한다.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철도교통이 단순히 양적으로만 증가하는 것으로는 안된다. 민영화 시도를 막아내고 운영과 관리 부문까지 공적 영역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생활권 내 교통부터 한 도시의 교통체계 나아가 수도권 전체의 공공교통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용인경전철 투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이석주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지부장

용인경전철은, ‘용인시-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네오트랜스주식회사’로 이어지는 다단계 위탁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이런 위탁 구조는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 처우 개선 나아가 교통공공성 확대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이번 지방선거가 용인경전철의 완전한 공영화를 약속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전길선 녹색당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후보

도보와 자전거 - 버스 - 철도로 이어지는 공공교통 시스템이 원활하게 맞물려야만 자동차 이용률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용인의 경우 경기도 내에서도 탄소배출량이 많은 도시이고, 자가용 이용률도 높은 도시다. 용인경전철의 다단계위탁 문제 해결을 계기로 지역 내 공공교통 수단 전반의 공공성 강화가 필요하다. 경기녹색당도 이번 문제에 적극적으로 연대하겠다.

활동 사진 

경기 지역 녹색 후보 

지구를 살리는 녹색, 

경기도를 바꾸는 선택!

정당투표는 5번 녹색당

경기 광역비례 후보 전길선

경기 지역 녹색 후보

지구를 살리는 녹색, 

경기도를 바꾸는 선택!

정당투표는 5번 녹색당

경기 광역비례 후보 전길선